목 차
제1부 교수회 10년
제1장 모색의 시기: 대학 자율화를 향하여(1987. 8.∼1989. 2.)
1. 새로운 교수협의회 출범
6월 항쟁과 교수협의회
친목회로서의 구 교수협의회
사회과학대학 교수회 결성
구 교수협의회의 정기총회
규정시안 작성 준비위원회의 활동
새로운 교수협의회 출범
출범에 즈음한 성명서 발표
단과대학 교수협의회 출범
2. 학칙 개정 작업 시동
제1차 교수협의회 평의회
학내 사태와 성명서 발표
총장의 학사업무개선 방침
학칙개정심의위원회 구성
발췌 개정 학칙
교수협의회 평의회의 대응
정기총회: 평의원회 구성 전면 거부
대학평의원회의 자율적 구성을 촉구하는 성명서 발표
친목내규 확정
교수협의회보 발간
4월 사태와 교수협의회
단과대학 학장 직접 선출
총장 사퇴 요구와 평의회의 입장
교수협의회에 의한 대학평의원회 구성
단과대학별 평의원 선출
제1차 대학평의원회
대학평의원회의 출범에 즈음한 성명서 발표
[평의원 임명장]: 삽화
최초 상정 안건 심의·의결: 제2차 대학평의원회
증과·증원안 심의·의결
분과위원회별 중점사업계획
안건 반려와 재의결
운영위원회 설치
1989학년도 예산 심의·의결
학칙개정특별위원회 구성과 학칙개정안 확정
대학평의원회의 기능과 위상
교수협의회 임시총회
교수협의회 회장단의 사퇴 선언과 재신임
수의과대학 교수협의회 결성
제2장 과도적 단계: 장벽을 넘어서(1989. 3.∼1992. 2.)
문교부의 학칙 회송과 내부적 시행 결의
교수회 및 교수평의회로 명칭 변경
교수평의회 분과위원회 재구성
전국 국립대학교 교수협의회 회장단 회의 개최
[개정 학칙 승인 및 교육법 개정 촉구를 위한 토론회] 개최
회장단 사퇴 파동
교수평의회 임시의장단 구성
교수회 회장단 보궐선거
자연대 사태와 임시총회
1989학년도 교수평의회의 기능 수행
제3대 교수회장 선출
교수평의회 분과위원회 재구성
기성회계 1989학년도 결산 및 1990학년도 예산 심의·의결
1990학년도 기성회계 추가경정예산 심의·의결
교수회 및 교수평의회 자체 예산·결산 심의
제4대 경상대학교 총장 선거: 총장 직선제 실현
교수회장의 사임과 대행체제
1990학년도 교수평의회의 기능 수행
교수회장 보궐선거
기성회계 1990학년도 결산 및 1991학년도 예산 심의·의결
1991학년도 교수평의회의 기능 수행
학칙 문제의 해결
교수회·대학평의원
제3장 안정화 단계: 자율적 대학운영의 보루(1992. 3.∼ )
제5대 교수회장 선출
대학평의원회 재조직
1992학년도 예산안 심의 논란, 총장 사과로 마무리
경영대학 분리를 둘러싼 갈등과 대응
경영대학 분리 논의의 진행과정
92년의 대학평의원회 활동
예산 및 결산 처리절차 규정의 제정
1993학년도 기성회 예산안 및 1992학년도 결산안 심의
1993년의 대학평의원회 활동
1994학년도 기성회 예산안 심의
{국책 공대 탈락}과 교수회의 대응
{[한국사회의 이해] 사태}와 교수회의 대응
제5대 총장선거 선거
1994년의 대학평의원회 활동
주요보직 교수의 인준
수산대학 교수회 출범
1995학년도 기성회계 예산안 및 1994학년도 결산안 심의 의결
외국어교육과 일어전공 학과 전환을 둘러싼 갈등
황소부 회장 전국국교협 회장에 선출
장기발전계획 승인
대학종합 평가에서 교수회 긍정 평가
1995년 대학펴의원회의 활동
제7대 회장단 출범
1996년 기성회계 예산안 및 1995학년도 결산 심의 의결
창원대학교 의과대학 신설 반대운동
1996년 대학평의원회의 활동
{21세기를 향한 교수회의 역할}- 대학평의원회 연수회 개최
신임 보직자 인준 부동의
제2부 대학자율화를 위한 주요 과제의 추진 과정
제1장 학칙 개정
상위 법령의 대학자율 규제
대학의 자율성을 도외시한 기존 학칙
대학간의 연대활동 전개; 전국국립대학 교수협의회 회장단 회의 활동
학칙개정 소위원회의 학칙개정
학교 당국의 발췌학칙 승인요청과 교수협의회의 반발
학내사태와 평의회의 자율적 구성 허용
학칙개정 특별위원회의 학칙개정
학칙개정을 위한 대외적인 연대활동
문교부의 신학칙 승인 거부와 학칙적용을 둘러싼 학내 갈등
통합학칙의 마련
교육부의 통합학칙 반려와 집행부의 학칙 개정
학칙의 타협적 모습과 대외적 배경
이후의 부분적 학칙 개정
제2장 총장 직선
1) 총장직선 관련규정 마련
다른 대학의 총학장 선출과 국교협 활동
총장선출규정의 마련
총장선출규정의 개정
첫 번째 총장선거
문교부의 총장후보자 추천위원회 구성안 제시
총장선출규정의 재개정
두 번째 총장선거
제3장 기성회계 예산 및 결산 심의 의결
1) 내부 인정에 의한 심의 단계 : 1989학년도
재정분과위원회의 1988학년도 후학기 중점사업계획 수립
2) 개정학칙 마련 이후의 본격 심의 단계 : 1990학년도
1989학년도 결산안 심의
1990학년도 예산안 심의
평의원의 헌신적 참여
1990학년도 추가경정예산안 심의
3) 기획실 설치 이후의 갈등과 조정 : 1991 - 1993학년도
1990학년도 결산안 심의
1991학년도 예산안 심의
1992학년도 예산안 및 1991학년도 결산안 심의
총장의 교수평의원회 출석 사과
[예산 및 결산 처리 절차 규정]의 제정
1993년도 예산안 및 1992년 결산안 심의
4) 예산안 및 결산안 심의의 안정화 단계 : 1994학년도 이후
회계년도 개시 이전의 첫 예산안 의결 -1994학년도 예산안
1995년 예산안 및 1994년 결산안 심의
1996년 예산안 및 1995년 결산안 심의
1997년 예산안 및 1996년 결산안 심의
과제와 전망 : [예산 및 결산 처리 절차 규정] 정비 필요
제3부 남기고 싶은 이야기
자유로운 학문공동체 위한 숭고한 노력
새로운 변화의 모색
고통과 시련 이긴 진리와 자유 정신
오늘 더욱 절실한 출범 초기의 열정
총장 선출, 그 첫 번째 드라마
구성원간의 존경과 이해로 빛났던 선거
효율적인 교수회 운영으로 대학자율 이어가야
8. 이상근 교수(1992학년도 예산 심의 당시 교수회 사무국장)
대학발전의 계기 되었던 직선 총장의 사과
대학발전 촉진하는 본부와 평의원회의 갈등
교수회·평의회는 달리는 기관차
자 료 편
1. 성명서
6) 성명서 - 개정학칙 승인 및 교육관계법 개정 촉구
9) 성명서 - 총장
10) 담화문 - 총장(사퇴)
13) 정부의 창원지역 국립의과대학 설립 방침에 대한 우리의 견해
2. 규정
1) 교수회 관련 규정
·구 교수협의회 정관(1987학년도 이전)
·교수협의회 규정 (1987년 8월 28일)
·교수협의회 규정 개정(1988년 6월 23일)
·전체 교수회 규정 (1989년 9월 20일)
·전체교수회 규정 (1991년 12월 16일)
·현 교수회 규정 (1996년 3월 24일)
·교수회 친목 내규 (1994년 3월 10일)
·참고 : 교수회 성원 산정 기준의 변화
2) 단과대학 교수회 규정
·인문대학 교수회 규정
·사회과학대학 교수회 규정
·자연과학대학 교수회 규정
·경영대학 교수회 규정
·공과대학 교수회 규정
·농과대학 교수회 규정
·법과대학 교수회 규정
·사범대학 교수회 규정
·수의과대학 교수회 규정
·의과대학 교수회 규정
·해양과학대학 교수회 규정
3) 대학평의원회 관련 규정
·대학평의원회 운영 세칙(1988년 7월 6일)
·대학평의원회 운영 규정(1990년 3월 14일)
·대학평의원회 규정 (1996년 3월 14일)
·대학평의원회 운영 규정 (1996년 3월 14일)
·경상대학교 예산 및 결산처리절차 규정 (1993년 2월 10일)
4) 총장 선거 관련 규정
·총장선출 규정(1988년 6월 23일)
·총장선출 규정(1990년 8월 22일)
·총장 선출 시행세칙 (1990년 10월 23일)
·총장임명추천위원회 규정 (1991년 12월 16일)
·총장임명추천위원회 운영규정 (1991년 12월 16일)
·총장임명추천위원회 규정 (1994년 10월 13일)
·총장임명후보자 선거관리규정 (1994년 10월 13일)
·총장임명후보자 선출시행규칙(1994년 10월 26일)
5) 학칙
·1987년까지 통용도니 구학칙
·신학칙(1989년 2월 18일)
·통합학칙(1991년 12월 16일)
·현 학칙(1992년 1월 교육부 승인)
3. 대학평의원회 심의 안건
1) 역대 교수회 임원
2) 단과대학 역대 교수회 임원
3) 회원 명단
4) 전 회원 명단